출처) https://danielmiessler.com/study/difference-between-uri-url/
▶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통합 자원 식별자는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유일한 주소이다.
URI의 존재는 인터넷에서 요구되는 기본 조건으로서 인터넷 프로토콜에 항상 붙어 다닌다.
URI의 하위개념으로 URL, URN 이 있다.
▷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고유식별자로 유일해야 함.
웹사이트 주소를 https://lxxyeon.tistory.com/라고 했을 때, 위치를 말하는 것이 아닌 구분자로 보는 것!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자원을 구분하는 식별자(ID), URN, URL은 URI에 포함.
▶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규약이다.
즉, 컴퓨터 네트워크와 검색 메커니즘에서의 위치를 지정하는, 웹 리소스에 대한 참조이다.
흔히 웹 사이트 주소로 알고 있지만, URL은 웹 사이트 주소뿐만 아니라 컴퓨터 네트워크 상의 자원을 모두 나타낼 수 있다.
그 주소에 접속하려면 해당 URL에 맞는 프로토콜을 알아야 하고, 그와 동일한 프로토콜로 접속해야 한다.
▷ URL 구성요소
[Web] URL 구성요소
1. 프로토콜 식별자 (protocol) 서로 다른 컴퓨터 간에 통신을 하기 위한 규약 웹 브라우저가 서버와 내용을 주고받을 때 사용할 규칙 이름. 웹 페이지의 주소를 표현할 때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
lxxyeon.tistory.com
▷ URL은 WHERE의 개념으로, 자원에 접근하는 방법이나 네트워크의 위치를 표현.
일반적으로 사이트 도메인을 의미.
특정 서버의 한 리소스에 대한 구체적인 위치, 리소스가 정확히 어디에 있고,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 알려준다.
ex)
https://lxxyeon.tistory.com/index.html
mailto:lxxyeon@gmail.com
file://lxxyeon/C:/test.txt
http://naver.com - 네이버 사이트의 URL
http://img.naver.net/static/www/dl_qr_naver.png - 네이버 앱 QR 코드의 이미지에 대한 URL
http://news.naver.com/main/main.nhn?mode=LSD&mid=shm&sid1=104 - 네이버 뉴스에서 분류 중 "세계" 주제의 기사에 대한 URL
▶ URN (Uniform Resource Name)
urn:scheme을 사용하는 URI를 위한 역사적인 이름이다.
URN은 영속적이고, 위치에 독립적인 자원을 위한 지시자로 사용하기 위해 1997년도 RFC 2141 문서에서 정의되었다.
▷ URN은 WHAT의 개념으로, 해당 자원이 무엇인지 유일(unique)하게 식별하는 이름이다.
자원 간에 이름 중복X, 리소스를 여기저기 옮겨도 문제X.
리소스가 이름을 변하지 않게 유지하는 한, 여러 종류의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로 접근해도 문제없다.
ex)
urn:namespace:the:id:for:file
urn:ietf:rfc:2141 - 'RFC 2141' 문서
urn:isbn:0451450523 - 책 번호로 식별되는 'The Last Unicorn'의 URN
urn:isan:0000-0000-2CEA-0000-1-0000-0000-Y</span > - 시청각 번호로 식별되는 'Spider-Man'의 URN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 OSI 7 계층 (0) | 2022.11.20 |
---|---|
네트워크 - 프로토콜 (0) | 2022.11.16 |
네트워크 -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0) | 2022.11.08 |
네트워크 - LAN ,WAN (0) | 2022.10.30 |
HTTP-프록시 캐시 (0) | 2022.04.22 |